728x90

전체 글 145

근로장려금 신청기간의 모든 것 (반기신청, 정기신청, 기한 후 신청)

안녕하세요! 오늘은 근로장려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장려금이란?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금액 미만인 근로자, 종교인, 사업자 가구에 대해 일하는 만큼 가구원 구성과 총 급여액 등(부부합산)에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지급하여 근로를 장려하고 소득을 지원하는 일과 연계된 복지제도 입니다. 이 제도는 제 기억으로 2009년도부터 시행되었으니 벌써 10년이 훌쩍 넘었네요. 하지만 아직도 많은 분들이 장려금에 대하여 모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근로장려금은 신청을 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습니다. 중요한 신청기간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기본적으로 근로장려금의 정기신청 기간은 5.1 ~ 5.31입니다. 만약 정기신청기간에 신청을 못한 경우라면 기한 후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기간은 6.1 ~ 11.30입니다..

세금 2023.06.25

부가가치세 간이과세자의 예정 및 확정신고 기간 및 과세기간

안녕하세요!! 이번엔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및 과세기간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간이과세자에 대해서는 이전에 간단하게 설명드렸는데요!! 다시 한번 살짝 설명드리면 간이과세자는 1.5% ~ 4%의 낮은 세율이 적용되는 주로 소비자를 상대하는 연간 매출 8천만 원 미만의 소규모사업자라고 생각하시면 대략 맞습니다. 다만 매출이 소액이라도 소규모사업자라도 사업자 본인이 원한다면 일반과세자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 신고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어떻게 보면 간단한데 또 어떻게 보면 더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일단 간이과세자의 기본적인 부가가치세 신고는 1년에 1회만 하면 됩니다. 1.1 ~ 12.31의 매출 및 매입에 대하여 다음 해 1.1 ~ 1.25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세금 2023.06.24

부가가치세 일반과세자의 예정 및 확정신고 신고기간 및 과세기간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가가치세 신고와 관련하여 신고종류와 신고기간 그리고 신고 시 과세기간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부가가치세에 대해서는 이전에 간략하게 설명드렸습니다. 부가가치세는 기본적으로 최종소비자가 부담하는 세금이지만 납부는 사업자가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사업자의 유형은 개인사업자를 기준으로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로 나눠지는데요!! 먼저 일반과세자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일반과세자의 경우 1년 동안의 신고 일정을 설명드리는 게 이해가 빠를 듯합니다. 1.1 ~ 6.30 6개월간의 매출 및 매입에 대하여 7.1 ~ 7.25 상반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를 합니다. 그리고 7.1 ~ 12.31 6개월간의 매출 및 매입에 대하여 1.1 ~ 1.25 하반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를 합니다. 이렇게 1년에 확정..

세금 2023.06.23

하반기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지급일, 현금 수령 및 환급통지서 조회 방법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혹시 들어보셨나요??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6월에는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하반기 신청자에 대한 지급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예정일은 6월 말일정도로 보이고요!! 카페나 인터넷에 보니 6월 지급일을 6월 27일로 소문이 나있더라고요. 보통은 소문이 맞으니 6월 27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물론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시고요. 오늘은 장려금을 현금으로 수령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보통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신청 시 지급받을 계좌를 입력하셨을 겁니다. 계좌 입력을 하셨다면 입력한 계좌로 환급 예정일 오후에 입금이 됩니다! 예정일이 6.27이니 오후정도면 통장에 확인되시겠죠!! 그런데 환급계좌를 기입하지 않거나 현금수령을 요청하신 분들에게는 환급..

세금 2023.06.22

부가가치세 간이과세자의 신고기간

오늘은 간이과세자에 대하여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과세사업자는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과세자는 보통 흔히 말하는 일반적인 사업자라고 보시면 되고요 간이과세자는?? 주로 소비자를 상대하는 업종으로 연간 매출액이 8천만 원 미달로 예상되는 소규모사업자로 사업자등록 시 간이과세자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사업자가 최초 사업자등록 시 일반과세자를 할지 간이과세자를 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업종 및 지역 등 제약으로 간이과세자가 배제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일반과세자로 등록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런 간이과세자는 원래 하나의 종류만 있었으나 21년 7월에 유형이 하나가 추가되었습니다. 간이과세자 그리고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는 간이과세자 이렇게 2가지로 나눠..

세금 2023.06.21

부가가치세 일반과세자의 신고기간

오늘은 곧 다가올 7월 부가가치세 확정신고에 대비하여 부가가치세와 일반과세자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국세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세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단순하게 사업자만 부가가치세랑 상관이 있겠지??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라면!! 잘못된 생각입니다. 부가가치세는 사업자가 아닌 일반 소비자가 부담하고 있는 세금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납부를 최종소비자가 아닌 사업자가 납부하기 때문에 사업자의 세금이라고 생각되는 것입니다. 부가가치세는 우리가 구매하는 물품금액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음식값에도 물건값에도 택배를 시켜도, 택시를 타도.... 우리가 하는 거의 모든 것에 부가가치세는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런 부가가치세는 최종 소비자인 국민에게 하나하나..

세금 2023.06.20

세금계산서 발급기한 및 발급에 대한 가산세

전자세금계산서에 대하여 설명을 드렸는데요 오늘은 세금계산서에 대하여 미발급, 지연발급 등 발급에 대한 가산세와 세금계산서는 언제 발급을 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알려드리려 합니다. 의무발급 관련해서 집중적으로 설명드렸는데요 오늘 알려드리는 내용은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자 분들에게도 해당되고 종이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분들에게도 해당됩니다. 쉽게 말해서 세금계산서 전반에 대한 발급기한 및 가산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드릴게요!! 세금계산서는 과연 언제 발급해야 할까요?? 바로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매출이 일어날 때마다 거래처에 매출세금계산서를 발급해야 합니다. 하지만.... 하나의 거래처에 거래가 매일 일어난다면 매일매일 세금계산서를 발급해야 할까요?? 너무 많은데^^;;; 그래서 원래는 거래..

세금 2023.06.19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시 혜택과 의무발급 대상자의 종이세금계산서 발급시 가산세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 대상자에 대하여 설명드렸는데요! 간략하게 다시 설명드리면!! 22년 1년 동안의 매출이 1억 원 이상이라면 23년 7월 1일부터 전자세금계산서 및 전자계산서 의무발급 대상자로 무조건 전자적으로 세금계산서 및 계산서를 발급해야 합니다. 그리고 의무발급 대상자가 되면 그 이후 매출이 줄어들더라도 계속 전자적으로 발급해야 합니다. 매출이 줄어든다고 다시 종이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습니다. 이제부터는 한번 의무발급대상자면 영원한 의무발급대상자인 것입니다. 그럼 이렇게 의무발급 대상자로 정해만 놓고 혜택은 없을까요??? 아닙니다! 혜택이 있습니다. 바로 발급세액공제입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및 전자계산서 발급 시 건당 200원 세액공제를 해주며 연간 100만 원 한도로 공제해 줍니다. 다만 ..

세금 2023.06.18

전자세금계산서 및 전자계산서 의무발급 대상자 및 의무발급 기간

전자세금계산서와 전자계산서에 대하여 들어보셨나요?? 전자세금계산서는??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68조 제5항에서 정한 전자적 방법으로 발급하는 세금계산서를 말함 전자계산서는?? 부가가치세 면세거래에 대하여 발급하는 계산서를 종이 발급 대신 법령에 규정된 전자적 방법으로 발급하는 계산서를 말함 여기서 말하는 전자적 방법이란?? 1. 표준인증을 받은 ERP 및 ASP시스템을 이용한 발급 2. 국세청장이 구축한 발급시스템을 이용한 발급 3. 현금영수증 발급장치를 이용한 발급 이러한 전자세금계산서 및 전자계산서에 대한 발급을 의무화한다는 이야기는 들어보셨나요?? 법인사업자는 2011.1월부터 의무발급 대상이었으며 개인사업자의 경우 직전연도의 매출규모에 따라서 의무발급 대상자로 지정되었습니다. 매년 그 기준금액을 ..

세금 2023.06.17

전자세금계산서 보안카드 홈택스 등록 방법

안녕하세요!! 전자세금계산서 국세청 보안카드 발급 방법에 대하여 설명드렸는데요!! 오늘은 발급받아온 보안카드를 어떻게 등록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발급만 받아오고 사용을 못하면 아무런 쓸모가 없겠죠??^^;; 등록방법은 간단합니다. 만약 홈택스에 기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있다면 로그인하시면 바로 보안카드 인증화면이 자동으로 뜹니다! 그때 보안카드 번호를 기입하시면 자동등록이 됩니다. 간단하시죠?? 하지만 만약 사업자로 회원가입이 안되어 있는 경우라면! 사업자등록번호로 홈택스 회원가입을 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홈택스의 회원가입은 주민번호로 가능하고요 사업자등록번호로도 가능합니다. 결론은 주민번호 아이디 1 사업자번호 아이디 1 총 2개의 아이디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만약 사업자번호가 2개 이상이라면?..

세금 2023.06.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