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145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안내문을 받은 경우?? 부가가치세 신고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인 7월이 되니 국세청에서 여러 안내문을 납세자에게 보내는데요!! 오늘은 그 안내문 중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안내문을 받은 경우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해당 안내문을 받은 사업자는 세금계산서 발급이 가능한 간이과세자입니다. 그럼 이 안내문을 받은 경우에는 7월 부가가치세 예정신고를 해야 할까요??? 답을 드리기 전에^^;; 먼저 안내문 내용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안내문 ('23. 7.25. 까지 신고·납부)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 예정신고의무 안내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안내 ■ 간이과세제도가 개편되어 1년간 매출액이 4800만 원 이상인 간이과세자는 다음 해의 7월 1일부터 그다음 해의 6월 30..

세금 2023.07.06

부가가치세 임대업 신고시 23년도 간주임대료 이자율은 2.9%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가가치세 임대업 하시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상가임대업의 경우 월세에 부가가치세가 부과되는 건 다들 아실 거고요!! 그리고 월세 이외의 보증금에 대하여도 간주임대료라고 해서 부가가치세를 과세하게 됩니다!! 어떤 분들은^^;; 나라가 도둑놈이라고 하시는 분들도 있으셨는데^^;; 법이 그러하니..... 그래서 보증금에 국세청에서 정한 이자율로 간주임대료를 계산하여 간주임대료의 10%를 부가가치세를 부담하게 하였습니다! 그래서 부가가치세 신고 시 임대업의 경우 월세의 부가가치세 그리고 보증금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합산하여 부가가치세를 납부하는 것입니다. 간주임대료는 어떻게 계산이 될까요?? 보증금 × 임대일 수 / 365 × 이자율 이렇게 계..

세금 2023.07.05

간이과세자포기 신고란?? 제출 방법 및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

안녕하세요!! 오늘은 과세유형전환에 대하여 설명드릴 때 잠깐 말씀드렸던 간이과세포기 신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간이과세포기란?? 쉽게 말해서 사업자 본인이 간이과세자를 포기하고 일반과세자를 적용받기 위해 제출해야 하는 신고서입니다. 언제 간이과세포기를 할까요?? 간이과세자(세금계산서 발급 가능)에서 간이과세자로 과세유형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계속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기 위해서는 일반과세자가 되는 방법 외에는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 간이과세를 포기하여 일반과세자를 적용받기도 합니다. 또는 간이과세자를 적용받다가 업종등의 변경으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해야 할 사유가 발생하면 일반과세자가 되기 위해서 간이과세자포기 신청을 하기도 합니다. 물론 이외의 포기하는 이유도 있겠지만 당장은 생각나는 게 없네..

세금 2023.07.04

7월1일 과세유형전환 통지를 받았다면??

안녕하세요!! 지난번엔 7월 1일 과세유형전환에 대한 사유를 알려드리고 전환 사례를 알려드렸습니다. 이번에 각 사례별로 사업자한테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드리고 또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매출액 기준으로 사업자의 유형이 전환된다고 설명드렸는데요!! 사업자의 유형이 변경되면 변경된 사업자의 유형에 따라 사업형태 및 방법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간이과세자 ▷ 일반과세자로 변경된다면? 소비자 업종이 아닌 경우에는 거래처에 이제 매출 세금계산서를 발급해야 합니다. 부가가치세도 별도로 징수해야 하며 부가가치세 신고도 이제 1년에 2번 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는 계속 간이과세자를 유지하고 싶어도 유지할 수 없습니다. 일반과세자로 변경되는 걸 막을 수 없습니다. 간이과세자 ▷ 간이..

세금 2023.07.03

매년 7월 1일 변경되는 과세유형전환 (매출액 기준)

안녕하세요!! 오늘은 과세사업자의 과세유형전환 중 매년 7월 1일 유형이 변경되는 사유를 알기 쉽게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매년 7월 1일 사업자 유형이 변경되는 이유는!! 딱 한가지!! 바로 직전연도의 매출액 때문입니다. 매출액 기준으로 유형이 변경되는 경우를 보면 일반과세자 ▷ 간이과세자 간이과세자 ▷ 일반과세자 이렇게 변경이 됩니다!! 그리고 최근 간이과세자가 2종류 세금계산서 발급 가능 간이과세자 세금계산서 발급 불가 간이과세자로 나눠지는 바람에 변경되는 경우의 수가 더 많아졌습니다. 일반과세자 ▷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 간이과세자(세금계산서 발급 가능) 간이과세자 ▷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 ▷ 간이과세자(세금계산서 발급 가능) 간이과세자(세금계산서 발급 가능) ▷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세금계산서 ..

세금 2023.07.01

과세사업자의 과세유형전환 일반->간이, 간이->일반 변경되는 기준은??

오늘은 과세사업자의 과세유형전환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과세사업자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일반과세자가 영원히 일반과세자로 유지되고 간이과세자가 영원히 간이과세자로 유지될까요?? 아닙니다!! 어떠한 기준으로 간이과세자가 일반과세자로 변경되거나 일반과세자가 간이과세자로 변경되는데요!! 세무서에서는 이런 걸 과세유형전환이라고 표현합니다!! 아시겠죠?? 과세유형전환!! 이런 과세유형전환이 되는 시점은 매년 1월 1일 또는 매년 7월 1일 자로 변경되는데요 1월 1일 변경되는 사유와 7월 1일 변경되는 사유가 다릅니다. 1월 1일 변경되는 사유는?? - 간이과세자가 일반과세자를 보유하게 된 경우 - 해당업종이 간이과세 배제업종이 된 경우 - 기존 간이과세자..

세금 2023.06.30

소득세, 부가세, 장려금 환급은 언제 될까?? 국세 환급일

오늘은 소득세, 부가세, 장려금 환급과 관련해서 가장 궁금해하시는 내용에 대하여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과연 국세 (소득세, 부가세, 장려금 등) 환급은 언제 되는 걸까요? 환급일은 언제일까요?? 그럼 차근차근 알려드리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소득세 및 부가가치세는 신고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종합소득세의 경우에는 5.1 ~ 5.31이 신고기간이며 부가가치세의 경우에는 1.1 ~ 1.25, 7.1 ~ 7.25이 신고기간입니다. 이런 정기신고의 경우에 만약 환급액이 있는 신고를 하는 경우라면!! 통상 일반환급이라는 표현을 하는데요!! 신고마지막날로 부터 1달 이내 환급이 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신고한 날이 아닌 신고기한 마지막날로 부터 1달 이내 환급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럼 종합소득세의 경우에는 신..

세금 2023.06.29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기한 후 신청과 지급금액, 지급시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6월 27일로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하반기 신청분에 대한 지급이 있는 날입니다. 지급을 받으신 분들도 있고 지급을 받지 못한 분들도 있으시겠죠~ 그런데 신청조차 못한 분들도 있으실 텐데요!! 장려금 안내를 받으신 경우에도 사정이 여의치 않아 신청을 못하신 분도 계시고 안내를 못 받았지만 소득요건 및 재산요건 등 모두 충족한다고 생각되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만약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에 대하여 정기신청 기간인 5.1 ~ 5.31까지 신청을 못한 경우에는 그대로 끝나는 건 아닙니다. 바로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기한 후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21년, 20년, 19년도의 장려금에 대한 기한 후 신청은 불가능합니다. 현재 가능한 장려금 기한 후 신청은 22년 소득에 대한 신청이 가능합니..

세금 2023.06.28

자녀장려금 신청기간 및 신청자격, 지급금액

오늘은 자녀장려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장려금은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으로 구분됩니다. 근로장려금에 대하여는 알려드렸고요!! 자녀장려금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녀장려금이란?? 저소득 가구의 자녀양육을 지원하기 위해 총소득(부부합산) 4000만 원 미만이면서 부양자녀(18세 미만)가 있는 경우 1인당 최대 80만 원 (최소 50만 원)을 지급하는 제도 총소득요건과 재산요건이 있습니다. 그럼 총소득요건에 대하여 설명드리면!! 근로장려금은 가구형태별로 소득기준에 차이가 있었지만 자녀장려금의 경우에는 18세 미만 부양자녀가 있다면 모두 소득기준은 동일합니다. 본인 및 배우자의 총소득이 4000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재산요건!! 재산요건은 근로장려금과 동일합니다. 본인 및 가..

세금 2023.06.27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소득기준, 재산기준)

오늘은 근로장려금의 신청자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근로장려금은 소득요건 및 재산요건을 충족한 경우에 신청가능합니다. 물론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도 장려금 신청이 가능하지만 장려금 지급이 되지 않습니다. 먼저 소득요건입니다. 소득요건은 가구 형태별로 기준금액이 달라집니다. 가구형태 가구원 구성 소득요건 단독가구 배우자 및 부양가족이 없는 경우 2200만원 미만 홑벌이가구 배우자 또는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부부합산 3200만원 미만 맞벌이가구 본인 및 배우자의 총급여가 3백만원 이상 부부합산 3800만원 미만 단독가구는 배우자가 없고 부양자녀가 18세 이상 직계존속(부모)의 경우 70세 미만인 경우에 해당이 됩니다. 쉽게 말해서 본인 혼자 거주하거나 가족이 있어도 자녀가 18세 이상이면 ..

세금 2023.06.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