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간이과세자 8

간이과세자 부가세 확정신고 납부면제 매출 기준

안녕하세요 하찮은 입니다. 1월은 부가세 확정신고의 달입니다. 법인사업자 및 개인사업자가 1년 혹은 6개월, 3개월 동안의 매출 및 매입을 신고해야 합니다. 보통은 매출세액이 매입세액보다 많은 경우 부가세 납부할 세액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간이과세자의 경우에는 다른 법인사업자, 일반과세자와는 다른 납부면제 규정이 있습니다. 간이과세자의 부가세 납부면제 개인사업자 중 영세한 사업자를 일반과세자와는 다르게 간이과세자로 등록을 하게 됩니다. 간이과세자는 영세한 사업자로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각종 가산세 면제 기준이 간이과세자의 매출액 기준인 4,800만 원 미만으로 설정되었으며 간이과세자는 1년에 한 번 부가세 신고를 하면 됩니다. 일반과세자는 보통 상반기, 하반기 총 2번을 하지만 간이과세자..

세금 2024.01.05

부가세 간이과세자 공급가액 일반과세자 공급대가 차이점

안녕하세요 하찮은 입니다. 오늘은 부가세 신고와 관련 있는 공급대가 공급가액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간이과세자 공급가액 일반과세자 공급대가 차이점 공급대가와 공급가액은 부가세 매출액을 계산할 때 사용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일반과세자의 매출을 신고할 때 공급가액이 사용되며 간이과세자의 매출을 신고할 때 공급대가가 사용됩니다. 간이과세자 공급가액 공급가액이란??? 부가세 매출금액에서 부가세 세액을 제외한 금액을 말합니다. 보통 일반과세자의 부가세 신고할 때 매출 과세표준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일반과세자가 1,000만 원 매출일 때 부가세는 100만 원으로 총 1,100만 원을 매출로 신고하게 됩니다. 이때 과세표준이 되는 1,000만 원!! 1,000만 원이 공급가액이며 100만 원은 부가..

세금 2023.12.18

개인사업자 매출액에 따른 간이과세자의 종류 (세금계산서 발급 간이과세자)

안녕하세요 하찮은 입니다. 오늘은 개인사업자 매출액에 따른 간이과세자의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이과세자의 종류 사업자는 기본적으로 법인사업자와 개인사업자로 분류되며 개인사업자의 경우 또 과세사업자와 면세사업자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과세사업자는 또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간이과세자는 매출액 기준에 따라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는 간이과세자와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는 간이과세자로 나눠집니다! 간이과세자 매출액 기준 4800만 원 8000만 원 간이과세자를 2종류로 분류하는 매출액입니다.. 기존 간이과세자의 기준은 1년 매출액이 4800만 원 미만인 경우 간이과세자 유지가 가능했습니다. 다만 매출액 이외의 업종, 지역기준을 충족한 경우에 한해서입니다. 간이과세배제기준..

세금 2023.11.29

개인사업자 종류인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 차이점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하찮은 입니다. 최근 24년 1월 1일 기준으로 개인사업자 중 간이과세자의 일반과세자 전환통지서를 받은 분들이 있어서 오늘은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의 차이점을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그 이후에 일반과세자 전환통지에 관련된 사항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은 개인사업자의 종류인 일반 및 간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일반과세자 및 간이과세자의 차이점 사업자는 크게 법인사업자와 개인사업자로 구분되며 개인사업자는 다시 면세사업자와 과세사업자로 구분됩니다. 법인사업자는 법인을 설립하여 사업자등록을 하는 것이며 개인사업자는 일반적인 개인이 대표자로 사업자등록을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개인사업자의 종류인 면세, 과세 사업자는 매출의 종류에 따라 구분됩니다. 면세되는 품목 혹은 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세금 2023.11.20

간이과세자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하면 발급세액공제 가능합니다. 단 23년 7월 1일 이후 부터!!

안녕하세요!! 하찮은입니다. 최근 부가가치세 신고 관련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세액공제 서식 입력방법을 알려드렸는데요!! 오늘은 관련하여 중요한 내용을 하나 더 알려드리겠습니다. 솔직히 저도 이번에 알았어요ㅠㅠ 알고 있었어야 했는데^^;;; 23년 7월 1일 이후 세금계산서를 전자로 발행하는 간이과세자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원래는 이렇게 직전연도 공급가액 3억 원 미만인 개인사업자 중 일반과세자만 세액공제가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부가가치세법 제63조 및 시행령 제114조에 의해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세액공제가 가능해졌습니다. 단!! 23년 7월 1일 이후 공급하는 것부터!! 그럼 7월 세금계산서는 보통 8월 10일까지 발행하므로 작성일자가 7월로 기재된 것들부터 세액공제 대상이 된다고 보..

세금 2023.07.20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안내문을 받은 경우?? 부가가치세 신고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인 7월이 되니 국세청에서 여러 안내문을 납세자에게 보내는데요!! 오늘은 그 안내문 중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안내문을 받은 경우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해당 안내문을 받은 사업자는 세금계산서 발급이 가능한 간이과세자입니다. 그럼 이 안내문을 받은 경우에는 7월 부가가치세 예정신고를 해야 할까요??? 답을 드리기 전에^^;; 먼저 안내문 내용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안내문 ('23. 7.25. 까지 신고·납부)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 예정신고의무 안내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안내 ■ 간이과세제도가 개편되어 1년간 매출액이 4800만 원 이상인 간이과세자는 다음 해의 7월 1일부터 그다음 해의 6월 30..

세금 2023.07.06

부가가치세 간이과세자의 예정 및 확정신고 기간 및 과세기간

안녕하세요!! 이번엔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및 과세기간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간이과세자에 대해서는 이전에 간단하게 설명드렸는데요!! 다시 한번 살짝 설명드리면 간이과세자는 1.5% ~ 4%의 낮은 세율이 적용되는 주로 소비자를 상대하는 연간 매출 8천만 원 미만의 소규모사업자라고 생각하시면 대략 맞습니다. 다만 매출이 소액이라도 소규모사업자라도 사업자 본인이 원한다면 일반과세자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 신고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어떻게 보면 간단한데 또 어떻게 보면 더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일단 간이과세자의 기본적인 부가가치세 신고는 1년에 1회만 하면 됩니다. 1.1 ~ 12.31의 매출 및 매입에 대하여 다음 해 1.1 ~ 1.25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세금 2023.06.24

부가가치세 간이과세자의 신고기간

오늘은 간이과세자에 대하여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과세사업자는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과세자는 보통 흔히 말하는 일반적인 사업자라고 보시면 되고요 간이과세자는?? 주로 소비자를 상대하는 업종으로 연간 매출액이 8천만 원 미달로 예상되는 소규모사업자로 사업자등록 시 간이과세자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사업자가 최초 사업자등록 시 일반과세자를 할지 간이과세자를 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업종 및 지역 등 제약으로 간이과세자가 배제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일반과세자로 등록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런 간이과세자는 원래 하나의 종류만 있었으나 21년 7월에 유형이 하나가 추가되었습니다. 간이과세자 그리고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는 간이과세자 이렇게 2가지로 나눠..

세금 2023.06.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