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 납부고지서의 납부기한이 지난 경우 기한 연장 방법
안녕하세요
하찮은 입니다.
10월이면 부가가치세 예정고지를 납부하는 달입니다.
올해는 10월에 추석연휴가 있어서 고지서가 늦게 송달되는 모양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고지서가 늦게 오는 경우에 납부기한을 연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간단하게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납부고지서의 송달지연
무슨 이야기지??라고 생각하실 수 있으니 예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10월 부가가치세 예정고지 납부서가 아시겠지만
보통 등기우편물로 발송이 됩니다.
당연히 부가가치세 예정고지 납부기한은 10월 25일 수요일입니다.
그런데 나의 사업장에 부가가치세 예정고지 납부서 등기 우편물이
10월 26일에 도착했다면.....
납부기한이 지났기 때문에
납부지연가산세!!
즉 원금의 3% + 원금의 하루당 0.022%가 가산되게 됩니다.
엄청 억울하시겠죠??
혹은 납부기한이 10월 25일인데
납부서가 10월 20일 날 등기 우편물로 받게 되었는데
납부기한이 너무 짧아서 깜빡 잊고 납부기한이 지났다면??
납부지연가산세게 부과됩니다.
이런 경우!! 이렇게 억울한 경우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납부기한을 연장요청할 수 있습니다.
아니 연장요청이 아니라 납부기한을 연장해야 합니다.
이렇게 납부서를 늦게 받는 경우를 송달지연이라고 합니다!!
국세징수법 제17조 송달 지연으로 인한 납부기한의 연장!!
법령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만약 납부서가 늦게 도착하여!!
① 도착한 날에 납부기한이 지난 경우
② 도착한 날부터 14일 이내 납부기한이 도래하는 경우
이 2가지 경우에는 고지서에 기재된 납부기한이 아닌
▷ 납부서가 도착한 날부터 14일이 지난날을 납부기한으로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송달지연의 경우 납부기한 연장 방법
쉽게 설명드리면!!
무조건 등기 우편물을 받은 날로부터 납부기한은 14일 후에 있어야 한다는 규정입니다.
만약 납부기한이 14일 안에 있다면?
도착한 날로부터 14일이 지난날을 납부기한으로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고지서의 납부기한이 10월 25일
고지서가 도착한 날은 10월 24일이라면!!
고지서에 기재된 납부기한이 10월 25일임에도 불구하고
납부기한은 10월 24일부터 14일이 지난날을 납부기한으로 하게 됩니다.
그래서 14일이 지난 11월 7일이 새로운 납부기한이 됩니다!!
만약 납부기한이 10월 25일
도착한 날이 10월 27일이라면?
도착한 날부터 14일이 지난 11월 10일이 납부기한이 되는 것입니다.
만약 14일이 지난날이 공휴일 또는 주말이라면 그다음 평일이 납부기한이 되는 것입니다.
이제 아시겠죠???
억울하게 납부지연가산세를 부담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럼 이런 경우는 그냥 고지서를 받고 14일이 되는 날 금액을 납부하면 될까요???
당연히 아닙니다...
법으로는 저렇게 14일이 되는 날을 납부기한으로 한다라고 되어 있지만....
국세청에서는 내가 납부서를 언제 받았는지 개별적으로 모두 알고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내가 직접 국세청 즉 세무서 담당직원에게
고지서가 늦게 도착했다는 내용을 알려줘야 합니다.
늦게 도착했다는 사실을 통보하게 되면 담당자가 해당 내용이 사실인지
1차적으로 확인하고 늦게 도착한 사실이 맞다면
14일이 되는 날을 납부기한으로 변경처리해 주게 됩니다.
그럼 국세청에서는 어떻게 내가 늦게 고지서를 받았는지 확인할 수 있을까요??
바로 내가 받은 고지서가 등기 우편물이기 때문에
등기번호로 언제 누가 수령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늦게 받지도 않았는데 늦게 받았다고 하시면^^;;;;;
안됩니다... 확실한 증빙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그러니 날짜 확실히 확인하시고
만약 송달지연에 해당하시게 되면
관할 세무서 담당자에게 납부기한 연장 처리를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연장처리를 요청하지 않으면^^;;;;
절대 먼저 국세청에서 해주지 않습니다....
그러니 꼭 납부기한이 지났다면!!
먼저 납부서가 언제 도착했는지 확인해 보시고
납부기한으로부터 14일 이내인지 확인하셔서
14일 이내라면 세무서 담당자에게
납부기한 연장을 당당하게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아시겠죠???
오늘은 간단한 팁하나 알려드렸습니다.
이런 간단한 팁이 내 소중한 돈을 지킬 수 있으니!!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공동주택 증여세 매매사례가액 시가평가 방법 (국세청 홈택스) (4) | 2023.10.12 |
---|---|
공동사업자의 부가가치세 예정고지 납부 방법 (연대납세의무) (2) | 2023.10.11 |
부가가치세 4월, 10월 예정고지란?? 예정고지세액 홈택스 조회 방법!! (0) | 2023.10.06 |
현금 증여 홈택스 증여세 전자신고 방법 (직계존속 증여 신고) (0) | 2023.09.27 |
증여재산 주택, 상가, 토지, 오피스텔 평가방법 (시가, 보충적 평가방법) (0) | 2023.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