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찮은 입니다.
오늘은 부가세 신고와 관련 있는 공급대가 공급가액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간이과세자 공급가액 일반과세자 공급대가 차이점
공급대가와 공급가액은
부가세 매출액을 계산할 때 사용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일반과세자의 매출을 신고할 때
공급가액이 사용되며
간이과세자의 매출을 신고할 때
공급대가가 사용됩니다.
간이과세자 공급가액
공급가액이란???
부가세 매출금액에서 부가세 세액을 제외한 금액을 말합니다.
보통 일반과세자의 부가세 신고할 때
매출 과세표준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일반과세자가 1,000만 원 매출일 때
부가세는 100만 원으로
총 1,100만 원을 매출로 신고하게 됩니다.
이때 과세표준이 되는 1,000만 원!!
1,000만 원이 공급가액이며
100만 원은 부가세 세액이 됩니다!
전체 매출금액에서 부가세 세액을 제외한 금액!!
바로 공급가액입니다.
일반과세자 공급대가
공급대가란??
부가세 매출금액에서 부가세 세액을 포함한 금액을 말합니다.
보통 간이과세자의 부가세 신고할 때
매출 과세표준을 말합니다.
기본적으로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의
과세표준 자체가 다릅니다.
일반과세자는 부가세 세액을 제외한 공급가액이 매출 과세표준이며
간이과세자는 부가세 세액을 포함한 공급대가 금액이 매출 과세표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일반과세자 기준으로 매출 1,000만 원, 부가세 100만 원
총 1,100만 원이 매출이라면!!
간이과세자 기준으로 보면!!
매출 + 부가세 = 총합계금액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즉 매출 + 부가세를 합한 전체금액이 공급대가이며
공급대가가 바로 부가세 간이과세자의 매출 과세표준이 됩니다.
이해되실까요??
공급가액은 전체 매출금액에서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
공급대가는 전체 매출금액! 즉 부가세까지 포함한 금액을 말합니다.
공급대가에서 공급가액을 계산하는 방법
그럼 공급대가에서 공급가액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간단합니다!
공급대가 = 공급가액 + 공급가액의 10%
중학교 수학시간에 배웠던 X 기억나시죠??
X = 공급가액이라면
공급대가 = 1.1X
공급가액 = X = 공급대가 ÷ 1.1
이렇게 계산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슈퍼에서 1,100원짜리 아이스크림을 산 경우!!
공급대가는?? 공급가액은??
공급대가는 1,100원입니다.
부가세를 별도로 받지 않는 경우에는 그냥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 공급대가로 보시면 됩니다!!
공급가액 = 공급대가 ÷ 1.1
1,100 ÷ 1.1 = 1000
공급가액은 1,000원
세액은 100원입니다.
그럼 좀 어렵게 해 볼까요??
슈퍼에서 5,000원짜리 과자를 산 경우!!
공급가액은??
공급대가가 5,000원이므로
5,000 ÷ 1.1 = 4,545원입니다.
공급가액은 4,545원 세액은 455원입니다.
공급가액과 세액의 합계가 공급대가이기 때문에
원단위는 금액에 맞추시면 됩니다.
이제 공급대가와 공급가액 차이를 아시겠죠??
그리고 공급대가와 공급가액의 차이를 아셨다면!!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의 매출액이 차이 나는 것도 아셔야 합니다.
일반과세자의 부가세 계산은
공급가액과 세액을 분리하여 계산하게 됩니다!
궁극적으로 은 매출세액 - 매입세액으로
부가세 납부할 세액을 계산하게 됩니다.
하지만 간이과세자의 부가세 계산은 다릅니다.
간이과세자의 경우 매출총금액!!
즉 공급대가에 업종별 부가율 및 세율 10%를 곱하여
납부할 세액을 계산하게 됩니다.
물론 매입세액도 있습니다만
매입세액도 매입공급대가 금액의 0.5%로
세액을 계산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A 사업장이 1,100원 매출이 발생한 경우
일반과세자라면 공급가액 1,000원, 세액 100원으로
계산하여 100원을 부가세로 납부해야 합니다.
매출 과세표준은 1,000원이 됩니다.
간이과세자라면 공급대가 1,100원으로 부가율을 15%로 계산하면
1,100원 × 15% × 10% = 16원이 납부할 세액으로 계산됩니다.
계산식이 정말 다르며!!
과세표준도 다릅니다.
간이과세자의 과세표준은 1,100원이 됩니다.
동일하게 매출이 발생했지만
일반과세자는 과세표준이 1,000원
간이과세자는 과세표준이 1,100원!!
차이가 발생합니다만... 동일한 매출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공급가액과 공급대가의
차이점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려드렸습니다.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근로소득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요건 및 계산 (17) | 2023.12.26 |
---|---|
퇴직 이직 연말정산 신고 방법 (5월 소득세 신고) (16) | 2023.12.20 |
연말정산 자료 정보 제공 동의 신청 방법 (22) | 2023.12.15 |
국세청 현금영수증 제도란?? (19) | 2023.12.13 |
상반기 근로 장려금 지급 제외 사유 (13) | 2023.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