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증여세란? 직계존속 직계비속 기타친족 증여재산공제 한도

Taxknee 2023. 9. 22. 17:52
728x90

증여세 신고

안녕하세요!

하찮은 입니다.
 
오늘은 증여세에 대하여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많은 분들이 관심이 있지만

나한테는 해당이 없겠지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만
 
우리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세금입니다.

그리고 잘 모르고 있다가 많은 세금이 과세되기도 합니다.

그러니 조금이라도 알고 있어야겠죠??
 
그럼 증여세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증여세

증여세란??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증여받은 경우에

그 재산을 증여받은 자가 부담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즉!! 증여세를 부담하는 사람은 증여를 받은 사람!!

이득을 보는 사람이 증여세를 납부하게 됩니다.

보통은 수증자라고 표현합니다.
 
여기서 재산이란!

현금, 부동산, 차량 등 유형, 무형의 재산 또는 이익을 모두 포함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현금으로 생각하시면 좋을듯합니다!
 
내가 부모님께 현금을 받은 경우!

부모님 ▷ 증여자

나 ▷ 수증자

증여세 신고를 해야 하는 사람은???

수증자인 내가 신고해야 합니다!!
 

그럼 증여세 신고는 언제까지 하면 될까요???

증여세 신고 기한

 보통 증여를 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월 이내

신고 및 납부를 해야 합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만약 증여를 7월 10일 날 받았다면!!

증여를 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 ▷ 7월 말

말일로부터 3월 이내 ▷ 10월 말
 
즉 7월 10일 증여를 받았다면!!

3개월이 되는 달의 말일까지 증여세 신고 및 납부를 국세청에 해야 합니다.

꼭 기억하세요!!

증여를 받은 달의 말일로 3개월 이내!!
 
그럼 이번에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증여재산공제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증여재산공제

증여공제

증여재산공제는 증여세 계산 시 공제되는 금액입니다.

단 증여일을 기준으로 역산하여 10년 동안 공제 가능한 금액입니다.
 
배우자에게 증여를 하게 되면 증여재산공제 ▷ 6억 가능합니다.

직계존속에게 증여를 받게 되면 ▷ 5천만 원

그런데 수증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 2천만 원
 
직계비속에게 증여를 받게 되면 ▷ 5천만 원

기타 친족 ▷ 1천만 원

아무런 관계가 없다면?? ▷ 공제금액은 없습니다!!

여기서 직계존속이란??

수증자!! 즉 증여를 받는 사람 기준으로

윗대를 뜻합니다.

즉 아버지, 어머니, 친할아버지, 친할머니,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정도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직계비속이란???

증여를 받는 사람 기준으로

아래를 뜻합니다.

즉 아들, 딸, 손자, 손녀를 말합니다.
 
기타 친족이란??

직계존속, 직계비속 이외의 친인척을 말합니다.

형제, 자매, 사촌, 이모, 고모 등....

증여세 기타친족 범위

정말 많이도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사항!!

주의해야 할 사항은!!

직계존속 1인에 대하여 5천만 원의 증여재산공제가 가능한 것이 아니라!!

직계존속 전부 합산해서 5천만 원의 증여재산공제가 가능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부에게 4천만 원을 증여받은 이후

모에게 2천만 원을 추가로 증여받았다면??

증여재산공제는 어떻게 적용될까요??
 

부에게 받은 4천만 원 ▷ 증여재산공제 4천만 원 가능

모에게 받은 2천만 원 ▷ 직계존속의 증여재산한도는 5천만 원이므로

1천만 원만 추가 공제가능하며 나머지 1천만 원에 대하여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이해되시죠??

직계존속에 대한 증여재산공제는 5천

부 ▷ 4천

모 ▷ 2천

총 6천 중 5천 공제하고 나머지 1천은 과세!!
 

즉 직계존속 개인 개인 한 사람의 한도가 5천만 원이 아니라

직계존속의 전체 한도가 5천만 원이라는 이야기입니다!!
 
한번 더 예를 들어보면!

성인이 된 20살 자녀가 할아버지에게 5천 증여를 받고

아버지에게 또 4천 증여를 받은 경우라면!!
 
증여를 받은 사람!

즉 수증자 입장에서

할아버지 ▷ 직계존속

아버지 ▷ 직계존속

모두 직계존속으로 직계존속의 증여재산공제 한도는 5천이므로

총 9천을 증여받았기 때문에

9천 - 5천 = 4천에 대하여

증여세가 과세됩니다!
 
이해되시죠??

직계존속, 직계비속, 기타 친족!!

무리에 대한 증여재산공제금액입니다.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증여세 그리고 증여재산공제에

대하여 알려드렸습니다.

다음번엔 좀 더 자세하게 증여세에 대하여 세액계산까지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