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원천세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관련 가산세 계산 방법

Taxknee 2023. 8. 9. 14:06
728x90

안녕하세요!!

하찮은 입니다.

 

원천세라고 들어보셨을까요?

사업주가 근로자 등을 고용하고 소득을 지급하는 경우

고용형태 등에 따라

소득 지급 시 소득세를 원천징수하여

원천징수한 내역을 신고하는 것이

바로 원천세 신고!!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입니다.

 

보통 사업자는 매월 원천세 신고를 하게 되고

신고와 함께 원천세!!

사업소득세, 근로소득세 등을 납부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소득을 지급하는 달의 다음 달 10일까지

원천세 신고 및 납부를 완료해야 합니다.

 

그래서 1월 지급 ▷ 2월 10일 신고 및 납부

2월 지급 ▷ 3월 10일 신고 및 납부

이런 형태로~

12월 지급 ▷ 1월 10일 신고 및 납부

해야 합니다.

 

그리고 일정 요건이 충족하는 경우

세무서의 승인을 통하여

6개월에 한 번 신고하는 반기 신고가 가능하게 됩니다.

 

요건 나중에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렇게 해서 원천세 신고를 하고!!

그리고 소득 종류에 따라

간이지급명세서, 일용근로지급명세서를

제출하고

연말에 지급명세서를 또 제출하게 됩니다!!

 

이게 좀 복잡한데요...

이것도 조만간 정리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설명드리고 싶은 건 가산세입니다.

원천세 신고 및 납부 관련 가산세인데요!

이 가산세가 다른 세목과는 좀 다릅니다.

원천세 신고 관련 가산세는 없습니다!!

다만 원천징수 관련 가산세가 있습니다.

신고에 대한 가산세는 없고

납부에 대한 가산세만 있습니다.

 

원천징수라는 게 소득을 지급할 때

소득자로부터 세금을 원천징수하는 행위이고

그 세금을 세무서에 납부해야 하는데

납부를 안 한경우 가산세가 부과되는 것입니다.

 

단순하게 원천세 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가산세는 없습니다!!^^;;

 

이해되시죠??

 

그래서 가산세 계산방법도 좀 다릅니다.

원천세 신고 후 다음 달 10일

공휴일이면 다음날까지 납부를 못한 경우!!

미납세액 × 3% + 미납세액 × 0.022% × 미납일 수

 

납부지연가산세가 부과됩니다!

 

다른 세목의 경우

미납세액 × 0.022% × 미납일 수

 

부과되는 것에 비해

3%가 더 부과되는데요!!

이 3% 신고 관련 가산세를 대신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늘 원천세 관련 가산세를 말씀드리는 이유는!!

이제 내일이면 10일인데요

원천세 납부기한입니다.

 

많은 분들이 원천세 자체가 소액이고

자진납부다 보니 납부자체에 소홀하거나

해서 납부를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가산세를 보고^^;;

억울해하시는 경우가 많아서...

신경 써서 납부를 꼭 하시라고

오늘 원천세 가산세에 대하여 설명드렸습니다.

 

단 하루가 지나도^^;;

미납세액의 3%가 부과됩니다.

주의하셔서 원천세 납부기한까지 납부를 꼭 하시기 바랍니다.

728x90